안녕하세요~ 마에스타입니다.
오늘은 클래식의 대표적인 선율악기인 플룻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플루트의 명칭
넓은 의미에서 ‘플루트’은 구멍 뚫린 관을 리드 없이 입으로 불어서 관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를 총칭한다.
오늘날 서양 오케스트라에서 활약하는 플루트는 19세기 이전에는 ‘가로 플루트(traverse flute)’라는 좀 더 구체적인 이름으로 불렸다. 그냥 ‘플루트’라고 하면 세로로 들고 부는 관악기인 ‘리코더(recorder)’를 지칭하는 경우가 더 많았던 것이다. 예를 들어 18세기에 작곡된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2번에 ‘플루트’라는 이름으로 편성된 악기는 현재 우리가 말하는 ‘플루트’가 아닌, ‘리코더’를 의미한다.
세로 플루트인 리코더 대신 가로 플루트가 ‘플루트’라는 이름을 독차지하게 된 것은 리코더가 더 큰 음량과 더 화려한 음색을 선호하는 시대적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가로 플루트에 밀려나면서 일어난 일이었다. 가로 플루트는 계속적인 개량을 거쳐 좀 더 큰 음량을 가진, 좀 더 연주하기 편한 악기로 변모하며 진화하였고, ‘플루트’라는 이름으로서 목관악기의 대표주자라는 오늘날의 위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수와 관능 – 플루트의 상반된 매력
플루트는 다른 관악기들과는 달리 가로로 길게 부는 악기라 그런지 오케스트라에서 유난히 눈에 띈다. 요즘은 은이나 금으로 된 플루트가 많기 때문에 플루트가 나무 관으로 된 목관악기로 분류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분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사실 옛날 플루트는 나무 관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플루트는 목관악기에 속한다. 플루트는 고음역과 저음역에서의 음색이 매우 달라서 관현악곡에선 음역에 따라 전혀 다른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 매력이다.
플루트가 높은 음역으로 연주할 때는 맑게 갠 푸른 하늘처럼 화창하고 푸르른 음색을 뿜어낸다. 비제의 [아를르의 여인 모음곡] 중 ‘미뉴에트’에서 하프의 반주에 맞추어 연주되는 플루트의 청아한 멜로디를 듣고 그 소리에 반하지 않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특히 플루트의 멜로디가 높이 치솟아오를 때 느껴지는 크리스털 같은 맑은 소리는 정말 순수함 그 자체이다. 그래서 리스트는 괴테의 [파우스트]의 이야기를 담은 그의 [ 파우스트 교향곡]에서 순수한 여인 ‘그레트헨’을 묘사하는 부분에서 플루트를 사용했다.
플루트의 특징
오케스트라 내 목관악기 중에서 리드가 없는 유일한 악기라는 점은 플루트가 갖는 큰 특징이다. 리드가 있는 악기와 달리 플루트는 숨이 취구에 바로 닿고 혀가 상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보다 더 민첩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따라서 빠른 트릴과 패시지를 쉽게 연주할 수 있으며, 혀를 사용하는 텅잉(tonguing)이라는 테크닉도 훨씬 세밀하게 발달하였다.
음색이 경쾌하면서도 우아하고, 부드러우면서도 화려한 플루트는 오케스트라의 주요한 선율 악기이다. 플루트는 훌륭하게 연주하려면 매우 어려운 악기이지만, 처음 배울 때 다른 관악기에 비해 소리가 쉽게 나기 때문에 아마추어용 악기로도 오늘날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멘델스존 플룻협주곡1악장(바이올린협주곡편곡)
화려하고 따뜻한 음색이 매력적인 플루트!! 목관의 대표적인 독주악기로 다양한 장르도 소화 가능한 플루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플룻 클래스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노원 마에스타 뮤직 아카데미로 연락주세요~~
<마에스타 오픈카톡 상담실>
https://open.kakao.com/o/s33fN7f
마에스타 카카오톡 아이디
maestarmusic
마에스타 교육상담문의
02-939-6288
'in 마에스타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작곡 수강생들을 위한 기초 참고자료 (0) | 2019.01.09 |
---|---|
2019년도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입시요강을 통해 보는 입시준비 (0) | 2019.01.04 |
'바이올린' 악기에 대하여 (0) | 2018.12.17 |
리코더의 다양한 종류에 대해 알아보아요~ (2) | 2018.12.14 |
'드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12.11 |